• 2023. 1. 11.

    by. (정보모음)

     

     



    1. 과학에듀의 특징적인 모습

     

     


    앞선 포스팅과 마찬가지로 영유아는 타고난 호기심과 감각을 이용하여 주변 세계를 탐색하고 놀이하면서 세상을 발견해 가게 됩니다.
    이러한 영유아의 특성은 과학자의 모습을 닮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영유아의 과학적인 특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본다면 6개를 들 수 있습니다.
    첫째, 영유아는 타고난 호기심과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영유아는 풍부한 호기심을 가지고 태어납니다.
    영유아는 아주 열심히 탐색하고 발견하게 되며 배우고 다시 창조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영유아는 움직임이 민첩하고, 변화에 민감하며, 새로운 것에 흥미를 갖게 됩니다. 또한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모든 것에 아주 민감하게 반응하게 됩니다.
    둘째, 영유아는 개별적인 방식을 통하여 경험하고 학습합니다.
    영유아는 자신의 흥미에 따라 관심사가 다르기 때문에 선택하는 활동에 개인차가 있습니다. 자신의 흥미에 따라 어떤 종류의 경험은 기꺼이 하려고 하지만 어떤 종류의 경험은 무관심하거나 무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영유아는 정보를 수집하고, 분류하고, 사용하고, 창조하는 데 있어서 나름대로 자신에게 맞는 개별적 방식을 발달시키는 것입니다.
    셋째, 영유아는 자기 경험과 관련지어 이해할 때 가장 잘 배우게 됩니다.
    영유아는 자기 경험과 관련지어 이해할 때 가장 잘 배우게 됩니다. 영유아는 주변 현상과 사건에 대하여 부모나 교사의 언어적 설명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자신의 직접적인 경험으로 인식하며 이해해 갑니다.
    예를 들면, 2살 영아가 따뜻하다는 개념을 배울 때 엄마의 손이 부드럽고 따뜻하다. 목욕물이 따뜻하다는 일상적인 경험을 통해서 따뜻하다는 느낌을 이해하게 됩니다.
    즉, 영유아의 기온이나 체온에 관한 학습은 섭씨나 화씨로 측정하는 것이 아니고 영유아의 감각과 직접적인 경험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넷째, 능동적인 존재로 어떤 활동이든지 경험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영유아 개개인의 학습을 격려할 수 있는 방법은 영유아의 흥미에 기초하여 조작적인 활동에 직접적, 능동적, 즉각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것입니다. 영유아가 스스로 직접적인 과학 활동을 경험할 때 가장 성공적인 과학 학습이 될 수 있습니다.
    다섯째, 아이들은 감각적이며 민감합니다.
    영유아의 경험은 모든 감각인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과 같은 오감각을 통해 이루어지게 됩니다. 영유아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오감각을 사용하기 시작하는데, 사물과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점점 감각을 정교하게 발달시켜 나가게 됩니다. 사람들은 오래전부터 감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감각 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에 관심을 두게 됩니다. 감각 훈련은 과학교육에서 두 가지의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나는 아이가 자기 감각을 통해 주변 세계를 이해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어린이의 주변 세계에 대한 과학적인 이해가 결국 과학 발달에 공헌하게 된다는 점입니다.
    마지막으로 여섯째, 어린이들은 놀이하면서 세상을 발견하고 자기 생각을 창조해 나가게 됩니다.
    선천적으로 지적 호기심과 사물에 대한 흥미를 가지고 태어난 탐구자입니다. 많은 과학자의 어린 시절에서 공통점을 발견해 본다면 복잡한 것을 단순한 것으로 만들면서 자기 생각을 가지고 놀이하는 것을 좋아했다는 점입니다. 그들은 주변 사물과 현상에 대하여 두려움 없이 탐색하고, 관찰된 현상에 대하여 설명하고, 타인과 함께 관찰하고, 가설을 세우며 결론을 내리게 됩니다.
    아동도 과학자처럼 호기심을 가지고 질문하며, 재료와 현상을 탐색하며 놀이하는 것을 좋아하고, 주변 현상을 이해하려고 노력합니다. 그 과정에서 나름대로 가설을 세우며 실험하고, 또래와 협동하고, 자신의 발견을 타인과 나누는 활동을 즐기게 됩니다.

     

     


    2. 어린이의 역할은 무엇일까

     

     


    성인들이 무심코 보아 넘기는 주변의 평범한 사물과 활동들도 아이들에게는 의미 있는 과학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낙엽 속을 뛰어다니며 나뭇잎을 자세히 살펴보거나 무엇인가를 찾으려고 진흙 속을 파헤치는 모습, 땅바닥에 놓여있는 다양한 돌멩이를 발견하여 자신의 호주머니에 담는 행동 등은 이러한 발견자의 모습을 잘 보여주게 됩니다. 감각을 이용하여 무엇인가를 발견하고, 발견을 통해 얻은 과학 경험은 보다 높은 수준의 지적 구조를 형성하여 인지 발달에 도움을 주게 됩니다. 사실 아이들이 배우는 과학적 지식이나 개념은 직접적인 발견에서 시작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다른 영역보다도 영유아의 직접적인 참여와 탐구하는 역할이 필요하면서 주변 세계를 관찰하고 다양한 사물과 현상에 호기심을 갖고 탐색하고 의문을 가지게 됩니다.
    자신의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서 계속해서 반복하여 탐구해 봄으로써 제 생각을 확장해 가고 새로운 지식을 습득해 가게 될 수 있습니다. 또 영유아들은 자신의 호기심과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체적 감각을 사용하게 된다면 적극적으로 문제 해결에 참여하게 됩니다.
    교사는 과학적 지식이나 개념을 언어적 설명으로 직접 가르쳐 주려고 하기보다는 스스로 의미 있는 문제 해결 과정을 경험하며 해결할 수 있도록 격려해 주어야 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아이들은 가끔 이론가와 같은 행동을 하기도 합니다.
    아이들이 자연현상과 주변 세계에 대한 적극적인 탐색을 하는 가운데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능동적으로 참여하면서 일상생활 속에서 많은 개념을 형성하며 이론을 만들어 가게 됩니다. 영유아는 초기에 직접적인 관찰에 의해 개념들을 인식하다가 점차 사물의 조작을 통한 추론으로 기존의 개념을 수정하고 확대해 갑니다. 또한 아이들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달 수준에 접합하게 주변 사물을 이해하기에 구성하려는 이론이 점점 복잡해지게 됩니다.
    이렇게 아동이 주체적으로 자신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바로 과학에듀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