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1. 11.

    by. (정보모음)

     



    1. 영유아의 과학에듀의 목적

     

     


    아이들을 위한 과학교육의 목적은 과학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McCormack과 Yager은 과학을 크게 두 가지 관점으로 정의하고 있는데 첫 번째 관점은 과학적 개념과 과학적 지식의 전달에 중점을 두는 결과론적 관점이 있습니다. 두 번째 관점은 과학을 지식과 사실들의 결과라고 정의하는 입장에서는 영유아가 성취한 지식과 개념에 초점을 두고 과정으로 정의하는 입장에서는 결과를 끌어내는 절차나 사고 과정에 목적을 두기도 합니다. 과학 교육의 역사적인 측면에서 볼 때 과학교육 연구자들은 결과 중심의 과학교육이 이른 시일 안에 과학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게 하지만 지식의 활용과 새로운 사실의 발견에는 한계가 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Cain은 탐구하고 발견하는 과정 중심의 과학 교육이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는 세계에 대처하고 새로운 지식을 형성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제안하고 있습니다. 과정 중심의 과학교육은 영유아 스스로 탐구하는 과정을 통하여 의미 있는 지식을 형성할 수 있고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는 것을 교육의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Chaille와 Britain은 구성주의 관점에서 영유아의 지식 구성 시 결과로서의 과학적 내용과 과학의 과정 모두가 관련되기 때문에 이 둘을 명확하게 양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특히 과학의 내용은 탐구해 가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습득하는 결과로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습니다. 이들은 영유아 과학교육의 목적으로 과학의 과정을 강조하면서 동시에 적절한 과학의 내용을 접목하는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Martin은 과학 교육의 목적을 과학적 태도, 과학적 과정 기술, 과학적 지식의 향상에 두고 있으며, 특히 과학적 태도를 정서적 태도와 인지적 태도로 나누어 영유아기 과학교육의 중요한 목적으로 강조하고 있습니다. 한편 현대사회에서는 과학과 기술의 발전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며, 생활 속에서의 과학에 대한 이해와 활용 능력 여부에 따라 삶의 질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국은 선진 과학국임에도 불구하고 이미 1990년에 프로젝트 2061을 통하여 모든 국민들이 과학을 이해하고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과학적인 소양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2. 과학교육의 목표

     

     


    영유아를 위한 과학교육도 일상생활 속에서 과학을 활용할 수 있는 과학적 소양을 가진 시민 육성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영유아기부터 스스로 탐구하는 과정을 통하여 과학적 지식과 개념을 형성하고 과학적 과정 기술을 익히며 과학에 대한 흥미와 태도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영유아 과학 교육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목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에는 미국 국가 연구 위원회에서 미국 과학 교육 기준을 개발하여 영유아의 과학교육 목표에 대한 총괄적인 기준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과학교육 기준에 제시된 영유아 과학교육의 목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기본적인 과학적 개념과 과학적 지식체계에 대한 원리, 법칙, 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실제 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둘째, 과학적 탐구의 추론 양식을 이해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알 수 있도록 합니다.
    셋째, 과학의 본질과 학습 방법을 이해하도록 합니다.
    넷째, 과학 발달의 역사, 과학과 기술의 관계, 그 관계가 반영된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이해하도록 도와야 합니다.
    영국의 경우도 1980년대부터 과학 과목이 핵심 교과로 도입되어 탐구 중심의 통합적 과학교육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2000년에 와서 영국의 교육과정이 전면적으로 개편되었는데, 6개의 교육과정 영역 중 영유아를 위한 과학교육은 세계에 대한 지식과 이해 영역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자 한다면 첫째, 손으로 직접 조작하는 활동을 통해 탐색, 관찰, 문제 해결, 예측,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과 토의하는 능력을 증진하는 것이 좋습니다.
    둘째, 영유아의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하는 다양하고 폭넓은 활동을 제공함으로써 영유아의 과학적 능력을 길러야 합니다.
    셋째, 영유아의 성은 물론 인종, 언어, 종교 및 개별 능력과 요구를 고려하여 질문하고 의사소통함으로써 영유아의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처럼 영국의 영유아를 위한 과학교육의 목표는 형식적 지식의 습득과 기존 과학 내용의 이해보다 과학 활동에 대한 올바른 태도 개발과 과학적 능력의 증진에 두고 있습니다.

     

     


    3. 과학에듀의 최근 동향

     

     


    우리나라의 유아교육 과정을 살펴보게 된다면 주위의 여러 가지 사물과 자연 현상에 대하여 호기심과 관심을 가지고 탐구하는 데 필요한 기초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고 제시되어 있습니다.
    이때 구체적인 목표는 주변 생활과 자연현상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탐구 능력과 태도를 기르게 됩니다.
    그리고 구체적인 사물의 조작을 통하여 논리, 수학적 사고의 기초능력을 기르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일상생활에서 부딪히는 문제를 창의적으로 탐구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해결하려는 태도를 기르게 됩니다.
    이렇게 우리나라 유아교육 과정을 비롯하여 미국의 국가 과학교육 기준과 영국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제시된 목표에서 공통으로 알 수 있듯이 현재 세계적인 과학교육의 동향은 지식보다는 지식을 얻는 방법, 즉 탐구 과정을 중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학문적인 것보다는 실생활 문제에 관련된 과학, 기술, 사회의 상호 연관성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사회의 변화와 깊은 관련성 속에서 이해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 속에서 과학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를 종합해 본다면 아이들의 주변 환경을 주의 기게 탐구하는 과학적 방법과 과학의 과정에 관한 기술을 길러야 하며 과학 활동에 능동성과 자율성을 갖고 참여하며 의문과 호기심을 해결해 보려는 과학적 습관과 태도를 길러야 합니다.
    생활과 환경 속에서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습득한 과학적 지식과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논리적 사고력을 길러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영유아가 환경과 생활에 대한 책임감을 갖고 자신과 주변 환경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필요합니다.